2030 FIFA 월드컵

덤프버전 : (♥ 0)



대회 개막까지
D-2179

2030 FIFA 월드컵
2030 FIFA World Cup™
엠블럼
포스터
대회 기간2030년 6월 8일 ~ 2030년 7월 21일
개최국
파일:스페인 국기.svg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파일:모로코 국기.svg

100주년 기념
개막전 개최국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슬로건
마스코트
주제가
공인구
본선 진출팀48개팀
대회 결과
우승파일:국기.svg
준우승파일:국기.svg
3위파일:국기.svg
4위파일:국기.svg
수상
골든볼
골든슈
이전·이후 대회
2026년
캐나다·멕시코·미국
2030년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
2034년
사우디아라비아
1. 개요
3. 경기 시간
4. 상징 및 경기장
4.1. 엠블럼
4.4. 경기장
5. 지역 예선 및 본선 진출 국가
5.2. 본선 진출 국가
6. 출전 선수 명단
7. 대회 전
8. 대회 진행
8.1. 개막식
8.2. 폐막식
8.3. 조별리그
8.3.1. 조 3위 간 성적 순위
8.4. 결선 토너먼트
8.5. 우승
9. 최종 순위
10. 수상
10.1. 드림팀
10.2. 토너먼트의 골
12. 공식 스폰서십
12.1. FIFA 파트너
12.2. FIFA 월드컵 스폰서
12.3. 지역 스폰서
13. 중계
14. 평가
14.1. 대회 운영
16. 여담
16.1. 대회 이전
16.2. 대회 중
16.3. 대회 이후



1. 개요[편집]


2030년에 개최될 예정인 24번째 FIFA 월드컵으로, 초대 대회인 1930년 제1회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 이후 FIFA 월드컵 100주년 대회이기도 하다. 2023년 10월 4일에 FIFA에서 사상 초유의 3개 대륙 동시 개최를 확정지었다.

세계 최대의 축구 대회이자 그 해 100주년을 맞이하는 대회인 만큼 여러 나라에서 개최에 관심을 보였으며, 특히 100년 전 최초의 월드컵을 개최한 우루과이[1] 역시 이웃나라들과 함께 공동 개최에 뛰어들었다. 축구 종주국인 잉글랜드도 관심을 보였으나 유치를 포기했다.

월드컵 본선이 48개국으로 진출팀이 늘어나 1개 국가가 전부 감당하기 어려울 만큼 큰 규모가 되었기에 이번 대회는 유치전부터 공동 개최를 전제로 여러 나라가 연합하여 참가했다.[2]

초대 월드컵 개최국 우루과이가 월드컵 100주년 기념을 명분으로 인근의 국가들인 아르헨티나-파라과이-칠레와 함께 공동 개최를 선언하며 유치전에 공식적으로 뛰어들었으나[3] 2023년 10월 발표에서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4] 3국을 공동 개최 국가로 선정하여 무산된 것으로 보였다. # 허나 월드컵 100주년을 기념해 초대 월드컵 개최국인 우루과이를 비롯해 아르헨티나, 파라과이에서도 개막전[5] 포함 각 나라당 한 경기씩 치르기로 해서 사상 유례없는 월드컵 역사상 최초로 3개 대륙(유럽·아프리카·남미)에서 진행되는 월드컵이 되었다. #

주개최국 중 스페인은 1982년 이후 48년 만에 월드컵을 개최하게 되었으며, 포르투갈과 모로코에서 월드컵이 열리는 것은 처음이다. 또한 아프리카는 2010년 이후 20년 만에 월드컵을 다시 개최하게 되었다.

사상 초유의 3대륙 공동 개최가 확정되면서 바로 선수들의 긴 이동 거리가 큰 문제로 떠올랐는데 대한민국의 경우, 개막전을 남미에서 치르게 된다면 무려 3만 km를 이동하게 될 수도 있다. 여기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잉글랜드를 비롯한 서유럽 국가들도 2만 km에 육박하는 거리를 이동해야 한다. #

월드컵은 대륙별 순환 개최 원칙을 따르고 있는데, 세 대륙에서 한 번에 월드컵이 열리며 2034년 월드컵은 아시아, 오세아니아에서만 열릴 수 있게 되며 2020년대 들어 열띤 스포츠워싱을 벌이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가 단숨에 유력한 개최지 후보로 떠올랐고,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 이를 두고 계속해서 사우디와의 밀월 관계를 강화하고 있는 FIFA의 사우디를 위한 큰 그림었다는 말도 나온다. #


2. 유치 과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30 FIFA 월드컵 유치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경기 시간[편집]





4. 상징 및 경기장[편집]



4.1. 엠블럼[편집]





4.2. 마스코트[편집]





4.3. 공인구[편집]





4.4. 경기장[편집]





5. 지역 예선 및 본선 진출 국가[편집]


48개 팀을 뽑는다고 가정하고[6] 지역 예선에서 출전권 배당은 아래와 같다. 만일 직전 대회인 2026 FIFA 월드컵처럼 2개 이상 국가들이 공동 개최할 경우, 대륙별 티켓 배분수가 조정될 수 있다. 방식이 어떻게 될 지는 불명.

만약 개최국 6개국[7]이 모두 자동 진출한 후 대륙간 쿼터가 현행 유지된다면 다음과 같이 조정될 것이다.

본선 진출권 배당
개최국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아메리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북중미카리브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아시아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오세아니아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
본선 직행6장[8]3장[9]6장8장8장[10]1장[11]14장[12]
플레이오프미정[13]


5.1. 지역 예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30 FIFA 월드컵/지역예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2. 본선 진출 국가[편집]


남미 (CONMEBOL)
진출 자격진출 확정일진출 횟수최근 진출최고 성적FIFA 랭킹[R]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아르헨티나월드컵 100주년 기념2023년 10월 5일182022우승[ARG]
파일:우루과이 국기.svg우루과이월드컵 100주년 기념2023년 10월 5일142022우승[URU]
파일:파라과이 국기.svg파라과이월드컵 100주년 기념2023년 10월 5일820108강[PAR]
파일:국기.svg지역예선 1위
파일:국기.svg지역예선 2위
파일:국기.svg지역예선 3위
파일:국기.svg대륙간 플레이오프

아프리카 (CAF)
진출 자격진출 확정일진출 횟수최근 진출최고 성적FIFA 랭킹[R]
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개최국 자동진출2023년 10월 5일620224위[MAR]
파일:국기.svg예선 A조 1위
파일:국기.svg예선 B조 1위
파일:국기.svg예선 C조 1위
파일:국기.svg예선 D조 1위
파일:국기.svg예선 E조 1위
파일:국기.svg예선 F조 1위
파일:국기.svg예선 G조 1위
파일:국기.svg예선 H조 1위
파일:국기.svg예선 I조 1위
파일:국기.svg대륙간 플레이오프

유럽 (UEFA)
진출 자격진출 확정일진출 횟수최근 진출최고 성적FIFA 랭킹[R]
파일:스페인 국기.svg스페인개최국 자동 진출2023년 10월 5일162022우승[ESP]
파일:포르투갈 국기.svg포르투갈개최국 자동 진출2023년 10월 5일820223위[POR]
파일:국기.svg예선 A조 1위
파일:국기.svg예선 B조 1위
파일:국기.svg예선 C조 1위
파일:국기.svg예선 D조 1위
파일:국기.svg예선 E조 1위
파일:국기.svg예선 F조 1위
파일:국기.svg예선 G조 1위
파일:국기.svg예선 H조 1위
파일:국기.svg예선 I조 1위
파일:국기.svg예선 J조 1위
파일:국기.svg예선 K조 1위
파일:국기.svg예선 L조 1위
파일:국기.svgUEFA Path-A
파일:국기.svgUEFA Path-B
파일:국기.svgUEFA Path-C
파일:국기.svgUEFA Path-D

아시아 (AFC)
진출 자격진출 확정일진출 횟수최근 진출최고 성적FIFA 랭킹[*R ]
파일:국기.svg3차예선 A조 1위
파일:국기.svg3차예선 A조 2위
파일:국기.svg3차예선 B조 1위
파일:국기.svg3차예선 B조 2위
파일:국기.svg3차예선 C조 1위
파일:국기.svg3차예선 C조 2위
파일:국기.svg4차예선 A조 1위
파일:국기.svg4차예선 B조 1위
파일:국기.svg대륙간 플레이오프

북중미카리브 (CONCACAF)
진출 자격진출 확정일진출 횟수최근 진출최고 성적FIFA 랭킹[*R ]
파일:국기.svg최종예선 A조 1위
파일:국기.svg최종예선 B조 1위
파일:국기.svg최종예선 C조 1위
파일:국기.svg대륙간 플레이오프
파일:국기.svg대륙간 플레이오프

오세아니아 (OFC)
진출 자격진출 확정일진출 횟수최근 진출최고 성적FIFA 랭킹[*R ]
파일:국기.svg지역예선 1위
파일:국기.svg대륙간 플레이오프


6. 출전 선수 명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30 FIFA 월드컵/출전 선수 명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대회 전[편집]



7.1. 조 추첨식 및 편성[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30 FIFA 월드컵/조 추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대회 진행[편집]



8.1. 개막식[편집]





8.2. 폐막식[편집]





8.3. 조별리그[편집]


조별리그
1위
(토너먼트 진출)
2위
(토너먼트 진출)
3위
(토너먼트 진출 / 탈락)
4위
(탈락)
A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B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C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D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E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F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G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H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I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J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K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L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파일:국기.svg 미정
(-승 -패 / -점)


8.3.1. 조 3위 간 성적 순위[편집]


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A파일:국기.svg미정00000000
B파일:국기.svg미정00000000
C파일:국기.svg미정00000000
D파일:국기.svg미정00000000
E파일:국기.svg미정00000000
F파일:국기.svg미정00000000
G파일:국기.svg미정00000000
H파일:국기.svg미정00000000
I파일:국기.svg미정00000000
J파일:국기.svg미정00000000
K파일:국기.svg미정00000000
L파일:국기.svg미정00000000


8.4. 결선 토너먼트[편집]





8.5. 우승[편집]


2030 FIFA 월드컵 우승팀
? 번째 우승



9. 최종 순위[편집]


최종 순위
순위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우승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준우승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3위
44위
58강
6
7
8
916강
10
11
12
13
14
15
16
1732강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조별리그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10. 수상[편집]


  • 최우수 선수
    • 골든볼 -
    • 실버볼 -
    • 브론즈볼 -

  • 득점상
    • 골든부트 -
    • 실버부트 -
    • 브론즈부트 -


  • 베스트 영플레이어 -

  • 페어플레이상 -


10.1. 드림팀[편집]


2030 FIFA 월드컵 드림팀
FW
FW
FW
MF
MF
MF
DF
DF
DF
DF
GK
HC[14]


10.2. 토너먼트의 골[편집]





11. 기록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30 FIFA 월드컵/기록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2. 공식 스폰서십[편집]



12.1. FIFA 파트너[편집]


파일:FIFA 로고.svg 파트너
[ 펼치기 · 접기 ]
파일:코카콜라 로고 화이트.svg파일:카타르에너지 로고.png파일:Qatar Airways logo white.png
파일:현대자동차 로고 세로형.svg파일:완다그룹 로고 화이트.svg파일:아디다스 로고 화이트.svg파일:비자카드 로고 화이트.svg
파일:기아 로고.svg




12.2. FIFA 월드컵 스폰서[편집]





12.3. 지역 스폰서[편집]





13. 중계[편집]





14. 평가[편집]



14.1. 대회 운영[편집]





15. 사건 사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30 FIFA 월드컵/사건 사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6. 여담[편집]



16.1. 대회 이전[편집]


  • 3대륙 대회인데 문제는 남아메리카에서 경기를 해야 하는 6팀[15]은 시차와 12시간 이상의 비행 시간으로 매우 힘든 일정으로 상당한 피해를 보게 된다. 특히 한국을 비롯해 남아메리카와 대척점에 있는 동아시아 국가들은 만약 조별리그에서 이 3팀 중 하나를 만난다면 무려 40시간 이상을 이동해야 한다. # 아무리 월드컵의 발상지라 해도 남미 몰아주기라는 평가가 있다. 애초에 남미 국가가 개최했으면 나았을 것.


16.2. 대회 중[편집]





16.3. 대회 이후[편집]





17. 팀별 결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30 FIFA 월드컵/팀별 리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 더구나 우루과이는 초대 월드컵 우승국이기도 하다.[2] 월드컵 개최는 단순히 큰 축구 경기장만 여러 개 있다고 해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경기장 보유는 기본 중의 기본이고 이외에 참가국 전원의 선수 및 스태프들을 위한 최상급 숙박시설과 식당, 훈련시설, 국제방송센터, 월드컵과 관련된 인문 및 사회봉사 활동을 위한 인프라 구축, 수백만의 관중들과 수천 명의 자원봉사자들을 포함한 대규모 인력을 컨트롤할 수 있는 행정력과 교통 시스템의 유지 및 보수, 이외에도 여러 가지. 그리고 이 모든 것을 가능케 하는 국가 경제력이 필요하다. 대회 이후 경기장 건설 및 보수에 들어간 천문학적인 돈은 전부 개최국의 정부의 짐덩이가 되어버리는 것은 덤이다.[3] 올림픽 100주년 때도 비슷한 논리로 초대 올림픽 개최국인 그리스 아테네가 유치를 추진한 바 있다. 그러나 거대 자본인 코카콜라의 로비를 등에 업은 미국 애틀랜타개최권을 따냈다.[4] 스페인과 포르투갈은 이베리아 반도 내에 붙어 있는 나라이고 모로코는 스페인에서 지브롤터 해협만 건너면 닿을 정도로 가깝다.[5] 우루과이 개최, 결승전은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개최.[6] 이 대회도 48개의 팀일 가능성이 높긴 하나 2026 월드컵에서 48개의 팀으로 했을 시 발생한 문제가 심각할 경우 다시 32개국으로 돌아올 가능성도 있다.[7] 스페인, 포르투갈, 모로코,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8] 스페인, 포르투갈, 모로코,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9]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 개최국 자동 진출로 3개국 제외[10] 모로코 개최국 자동 진출로 1개국 제외[11] 뉴질랜드가 거의 유력하다.[12] 스페인, 포르투갈 개최국 자동 진출로 2개국 제외[13] 원래 2026년부터 개최국 대륙에는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한 장씩 더 부여했으나 세 개 대륙이 개최국이 되는 관계로 조정될 가능성이 높다. 세 대륙 모두 주어서 8강 토너먼트로 진행하면 타 대륙이 반발할 가능성이 높아 전부 한 장씩 배부하고 이번 월드컵만 한시적으로 유럽도 플레이오프를 참여하는 형태로 바뀔 가능성도 있다.[R] A B C 조 추첨식이 열리는 달의 직전 기간 랭킹을 기입.[ARG] 1978, 1986, 2022[URU] 1930, 1950[PAR] 2010[MAR] 2022[ESP] 2010[POR] 1966[14] Head Coach - 감독이다.[15]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 이 3팀의 상대팀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8 23:11:56에 나무위키 2030 FIFA 월드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